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3

금리란(기준금리, 가산금리)

1. 금리란 무엇이고 어떻게 결정되나 1) 돈의 가격 금리 우리는 돈을 빌려 쓸 때 일정기간에 대한 이자를 지불합니다. 이자는 돈에 대한 사용료입니다. 우리가 빌린 돈(=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 이자율이 바로 금리입니다. '금리가 높다'는 건 '이자율이 높다'는 이야기인 거죠. '금리부담이 크다'처럼 이자라는 의미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1000만원을 1년간 빌리고 이자를 10만원 냈다고 하면 금리는 10%입니다. 반대로 1000만원을 연 10% 금리로 맡기면 이자가 붙어 돈이 스스로 불어나게 됩니다. 2) 금리의 결정 이러한 돈의 가치인 금리는 상품의 가격처럼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됩니다. 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 금리는 상승하고 돈의 공급이 늘어나면 금리는 떨어집니다. 경기, 물가, 정부의 통화..

GDP(국민총생산)와 국민경제

1. GDP란? 일정기간에 얼마나 많이 생산하는가? 이러한 생산으로부터 얼마나 소득을 얻는가? 그 소득은 어디로 흘러가는가? 위의 질문은 경제활동을 살펴보고 평가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첫 번째 질문이 바로 GDP입니다. 생산물은 눈에 보이는 형태를 지닌 물건과 무형의 서비스가 있습니다. 전자를 재화, 후자를 용역이라 합니다. gross : 총 합계, 전체 , 경비를 제외하지 않은 총소득 Domestic: 국내의 Product: 생산물 GDP 는 “국내총생산”이라 부르며 일정기간에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치의 합을 말합니다. 기간은 주로 1년 , 시장가치는 가격에 수량을 곱해서 계산합니다. 2. 국민경제와 GDP 국민 경제의 크기는 주로 가계의 소비 활동과 기업의 투자 활동, 정부..

인플레이션의 영향과 대책

1.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은 물건과 서비스의 가격이 오르는 것을 말합니다. 때로는 가격이 여러 이유로 저렴해지는 것도 있기 때문에 정확히 말하면 평균적인 물가 수준이 오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건 값이 올라가면 생활비가 직접적으로 더 들어갑니다. 그래서 그렇게 반길만한 일은 아닌 듯 보이지만 오른 물가보다 내 임금이 더 오르고 내가 이직할 수 있는 일자리가 더 늘어나면 어떨까요? 그렇게 된다면 우리는 오히려 물가가 떨어지는 것을 더 걱정스러워할지도 모릅니다. 경제 전반적으로 적당한 물가상승은 이득이 됩니다. 하지만 적절하지 못한 급격한 인플레이션은 사람들의 생활 수준을 낮추고 전체 경제를 침체에 빠뜨릴 수 있습니다. 2. 인플레이션의 영향 1) 경제성장 촉진 2022년 급격하게 금리를 올리는 미국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