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저기 눈만 뜨면 하고 싶은 것도 많고 쓰고 싶은 것도 많다. 그런데 내 통장은 언제나 너무 한정적이다. 그 돈을 내가 벌었던 아니든 내가 직접 돈을 들고 뭔가를 살 수 있으면서 지금까지 매일 하고 있는 게 돈에 대한 의사결정이었다.
희소성과 선택의 경제학
좀 거창한가? 내 모든 것들이 경제학이다. 우리의 무한한 욕망에 비해 그것이 시간이든 돈이든 언제나 부족하다. 우리의 무한한 욕구에 반해 부족한 자원은 언제나 부족하다. 이것이 경제학의 기본개념인 희소성이다.
인간은 생존과 번영을 위해선 재화와 서비스가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가 가진 자원은 무한하지 않다. 우리는 그래서 늘 선택해야 한다. 한가지를 선택한다는 것은 종종 다른 것을 포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선택은 언제나 어렵다.
편익과 기회비용 비교하기
그렇다면 후회없는 선택을 하고 싶을 때 우리는 무엇을 고려할까? A, B의 선택에서 A를 선택했을 때의 이익과 B를 선택했을 때의 이익을 비교한다. A를 선택할 경우 B를 포기하게 된다.
이때, 포기한 B를 선택했더라면 얻었을 이익을 기회비용이라고 한다. 그리고 A를 선택해 얻은 이익을 편익이라 한다. 편익은 돈뿐만 아니라 선택으로 얻는 만족감이나 즐거움을 의미하며, 기회비용은 그 선택으로 포기한 것을 반영한다.
기회비용보다 큰 편익 선택 : 합리적 선택
경제학자들은 기회비용보다 큰 편익을 선택하는 것을 합리적 선택이라고 부른다. 너무 당연하게 들린다. 하지만 눈에 숫자처럼 보이지 않는 즐거움이나 만족감을 비교해야 하는 경우에는 그 선택이 결코 간단하지 않다.
온라인 세상이 끝없이 확장되면서 개인은 처리 불가능한 정보와 선택사항에 몰리고 있다. 더 교묘해진 사회적 욕망은 우리가 편익과 기회비용을 제대로 비교하는 걸 어렵게 만든다.
우리는 모두 안다. 지금 저축을 선택하면 부를 쌓을 기회를 더 가질 수 있고 과소비를 하면 매일 갚아야 할 카드 빚으로 돌아온다는 것을. 각각의 선택은 명명백백하게 현재와 미래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다 알면서도 우리는 당연해 보이는 선택을 하지 경우가 많다.
각자가 계속 경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하기 위해선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무엇보다 기회비용과 편익에 근거한 의사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합리적 선택을 위한 몇가지 팁
우리는 누구나 소비, 저축, 투자 등 돈과 관련해서 가장 최선의 선택을 하고 싶어한다. 그런 선택을 하기 위한 몇 가지 팁을 정리했다.
1. 선택사항을 평가하기
결정을 내리기 전에 잠재적인 이익이나 기회비용을 평가한다.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 무엇을 놓칠 가능성이 있는지? 빈종이 한 장을 꺼내놓고 한 페이지 정도를 채워보자.
2. 서두르지 않기
충동적인 결정을 내리지 않는다. 1번에서 언급한 빈종이에 쓰기 시간만 갖어도 충동으로 인한 후회를 줄일 수 있다. 시간을 갖고 모든 옵션을 신중하게 검토한다.
3. 감정이나 압력에 흔들리지 않기
충동적인 소비는 스트레스와 같은 감정이 영향인 경우가 많다. 자존감이 떨어졌을 때 쇼핑을 많이 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거절 못하는 성격 때문에 타인의 권유를 받아들이는 자신도 경계하자. 자신에게 좋은 것이 무엇인지 객관적인 평가를 해보아야 한다.
4. 최신정보 파악하기
올바른 결정을 내리기 위해 지식은 곧 힘이다. 매일 경제뉴스로 꾸준히 쌓아놓은 정보는 올바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넘쳐나는 정보 홍수에서 관심 주제별로 믿을 만한 매체 한 두 가지를 선택해 뉴스레터 구독을 추천한다. 다 읽지 않아도 제목이라도 챙겨두자.
'경제 이슈와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에 대한 이해 정의 결정 변동 영향 (0) | 2023.08.11 |
---|---|
미국의 신용등급 하락 이유와 금융시장의 반응 (0) | 2023.08.07 |
금리가 오르면 채권가격이 떨어지는 이유 (0) | 2022.11.26 |
국채 종류, 목적, 유통, 상환 (0) | 2022.11.08 |
채권수익률과 채권가격 관계 (0) | 2022.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