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슈와 상식

환율에 대한 이해 정의 결정 변동 영향

ta, 2023. 8. 11. 16:12
반응형

우라나라는 외국과의 거래에서 원화 결제가 불가능하다.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비율로 통용되는 통화는 달러다. 이번 글은 환율의 정의, 환율이 결정되는 과정과변동하는 이유, 국가 경제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리했다.
 

 

환율의 정의 

환율은 국가 간 화폐의 교환비율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외국 화폐 1 단위에 상응하는 원화 가격을 환율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원달러 환율이 1300원이면 1달러를 살 때 1300원을 지불하는 것이다. 
 
아래 그림을 보면 어제보다 환율이 상승했다. 우리나라는 변동환율제도이기 때문에 환율은 매일 변한다.  환율은 외화의 가격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환율 상승 = 외화가치 상승 = 외화가 비싸진 것이다.  반면 상대적으로 환율상승은 원화가치 하락인셈이다.
 
출처 : 한국은행 

환율변동 그래프
2000.07~2023.07 환율변동

 
 

변동환율제도
외환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환율이 결정되며 
국제수지 불균형시 빠른 조정이 가능하다.
1997년 외환위기 후
고정환율제도에서 변동환율제도로 변경되었다. 

시장에 의한 환율 결정을 원칙으로 하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급격한 변동으로 
경제에 충격이 생길 경우 외환당국이 
개입하기도 한다. 

 

환율의 결정과 변동 

 
환율은 다른 상품의 가격처럼 수요와 공급에 따라 외환시장에서 결정한다. 외화의 수요는 수입, 해외 자본 국내 투자 등에서 발생한다. 공급은 수출, 국내 자본의 해외 투자에서 발생한다. 
 
외국 금리가 높아지면 국내에서 해외로 투자자금이 빠져나간다. 우리가 금리 높은 은행으로 예금을 옮기는 것과 같다. 국내에서 원화를 외화 바꿔 나가기 때문에 국내 외환시장에서 외화 수요가 증가한다. 
 
반대로 우리나라 금리가 높아지면 국내로 자본의 유입된다. 외화 공급이 늘어난다.
 

각국의 다양한 지폐
각국의 다양한 지폐

 
 
외화 수요가 증가하면 외화가 비싸진다. 즉 환율이 상승한다. 반명 외화 공급이 증가하면 환율이 하락한다. 
 
수입이 늘어나면 해외에 비용을 지불해야 하니 외화가 필요하고 수출이 늘어나면 외화로 비용을 받으니 외화가 쌓인다. 경상수지는 수입과 수출의 차이이다. 경상수지 흑자는 수출이 수입보다 많은 경우로 외화가 쌓여 환율이 하락한다. 반대로 경상수지 적자는 환율이 상승한다. 
 
환율 상승은 "원화 약세", 환율 하락은 "원화 강세"라고 표현한다. 우리 돈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거나 높아졌다는 것이다. 환율은 외국돈의 가치로 보면 헷갈리지 않는다. 
 
환율은 국제 거래와 경제 안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정부와 중앙은행은 환율 변동을 안정시키기 위해 외환시장에 개입하기도 한다. 우리는 환율을 통해 경제 동향을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다. 

 

세계 지도와 화폐
세계 경제와 화폐

 

 

환율의 영향 

 
환율 변화는 경제 주체들의 외화 수요 또는 공급에 따라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 예로 환율이 상승하면 수입이 줄고 수출이 증가한다 경상수지가 개선된다. 환율이 하락하면 수입이 늘고 수출이 감소한다. 경상수지가 악화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은 수출이 중요한 국가에서 환율 상승은 경제 성장이나 경기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흔히 불경기일 때 환율을 상승시키기 위해 원화가치를 하락시키는 정책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원자재, 중간재 수입이 많은 우리나라에서 국내 물가가 상승할 수 있다. 개인적으론 해외 직구 결제 금액이 늘어나고 해외여행 비용이 상승한다. 기업의 경우에는 외화표시 부채의 상환부담이 높아진다. 
 
환율이 높거나 낮거나 어떤 것이 뚜렷이 우리 경제에 더 유리하다고 말할 수 없다. 다만 환율 변동이 큰 것은 우리 경제에 나쁘다.  따라서 환율변동이 높을 때 환율을 안정시키기 위해 정책당국이 외환시장에 개입한다. 
 

결론 

환율은 외국 돈의 가격이면서 수출상품과 수입상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이다.  해외 구매 및 해외여행이 늘면서 개인이 환율변동을 더 자주 체감하게 되었다.  해외주식 투자를 하려면 국가 간 수익률 차이 뿐만 아니라 만기 시 환율 변동도 생각해야 한다. 환율을 통해 바라본 경제의 움직임은 흥미롭기도 하겠지만 개인의 역량 향상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