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X 지수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공포 지수'라고도 불린다. 이 지수는 금융 시장의 변동성, 특히 S&P 500 지수지수 옵션의 예상 변동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고점일 때 시장의 불안정성을, 저점일 때 시장의 안정성을 나타낸다고 해석될 수 있다.
- 20년간의 VIX 지수 그래프를 통해 경제 상황과 VIX지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 높은 VIX 지수를 '구매의 기회'로 간주하는 경우 명심해야 할 부분을 정리했다.
- VIX 지수가 활용되는 일반적인 투자 전략을 정리했다.
- 공부를 위해 옵션 변동내재성과 옵션가격과의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부분을 정리했다.
1. VIX 지수의 정의
CBEO VIX(이하 VIX)는 시카고 옵션 거래소에서 발표하는 변동성 지수다. 변동성 지수는 일정기간 동안 자산 가격 변동을 수치로 표현한 것이다.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일정 기간동안 특정 자산이나 시장 전체의 가격이 얼마나 크게 움직이는지를 말한다. 가격이 크게 상승하고 크게 하락하는 것은 그만큼 예측이 어렵고 원하는 때에 원하는 가격으로 팔고 사는 게 어렵다.
시장의 변동성이 크면 그만큼 투자자는 손실 위험이 커진다.
변동성 지수는 이러한 변동성을 수치로 표현한 것이다. 다양한 변동성 지수가 존재한다. 그중 CBEO VIX(이하 VIX)는 S&P 500 지수 옵션의 내재 변동성 (implied volatility)에 근거해 앞으로 30일간 예상 변동성을 나타낸다.
VIX(Volatility Index, 변동성 지수)
시카고 옵션 거래소(Chicago Board Options Exchange , CBOE)
*옵셥의 내재 변동성에 대해서는 추가로 맨 마지막에 정리했다.
2. VIX 역사적 변화
VIX는 하단의 20년간의 그래프를 보았을 때, 2020년을 기준으로 이전에는 10~20 경우가 많았고 2020년 이후엔 20~30 범위가 많았다.
VIX는 구글, 네이버 어디서든 검색으로 쉽게 볼 수 있으며, 그래프를 볼 수 있는 주요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 2020년에는 최저 11.75 ~ 최고 85.47까지 거래되었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 2021년에는 최저 14.01 ~ 최고 37.51
● 2022년 1월에 최저 16.34 ~최고 38.93였으며 2022 내내 이 범위 안에 있었다.
● 2023년에는 최고 30.81, 최저 12.73으로 2020년 글로벌 팬데믹 이후로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 현재 14에서 16 사이를 유지하고 있지만, 그래프 하단 아랫부분을 보면 기본 수준은 2020년 이전보다 높다.
23년 6월에 공포지수가 3년 내 최저 수준이라는 제목을 쓴 기사가 많았다. 하지만 2020년 이전 보다 기본 수준이 높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주식시장에서 갑작스러운 급매도가 있을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는 것이다.
3. VIX 지수와 주식투자
낮은 VIX 지수( 예: 10-20 범위)
시장의 변동성이 낮고, 투자자들이 비교적 덜 불안해하는 시기를 나타낸다. 이런 시기에 주식 매입을 고려할 수 있지만, VIX 지수만으로는 시장의 최상단이나 최하단을 판단하기 어렵다.
높은 VIX 지수( 예: 30 이상 )
시장의 변동성이 높으며 투자자들이 더 큰 불안을 느끼는 시기를 나타낸다. 이는 주식 시장에서 판매 압력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일부 투자자들은 이를 '구매의 기회'로 간주하고 주식 매입을 고려하기도 한다.
하지만 다음 사항들을 명심해야 한다.
- VIX 지수는 시장의 예상 변동성만을 나타내는 지표로, 특정 주식이나 시장 전체의 가치평가, 경제 상황, 기업 실적 등 다른 중요한 변수들을 고려하지 않는다.
- VIX 지수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주식 시장이 하락하거나, VIX 지수가 낮다고 해서 반드시 주식 시장이 상승하는 것이 아니다.
- VIX 지수는 단기적인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중장기적인 투자 전략을 결정하는 데에만 의존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VIX 지수는 투자 결정을 내릴 때 참고하는 한 가지 지표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주식 매입의 최적 시점을 결정할 때는 VIX 지수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제 지표, 기업의 실적 및 전망, 글로벌 경제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4. VIX 활용한 일반적인 투자 전략
- 시장의 과열 여부 파악
VIX 지수가 낮을 때는 시장의 안정성이 높다고 판단되므로, 주식 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반면 VIX 지수가 높을 때는 시장의 불안정성이 높아, 주식 시장에서의 투자 위험이 커진다고 판단한다.
- 리밸런싱 전략 활용
VIX 지수가 상승할 경우, 주식 투자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때 주식 포트폴리오의 비중을 줄이고 안정적인 자산으로 이동하는 리밸런싱 전략을 취할 수 있다.
- VIX 관련 상품 투자
VIX 지수와 연관된 ETF나 ETN 같은 상품들을 통해 변동성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VIX 지수가 상승할 것이라 예상되면 이와 관련된 상품을 매입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다.
- 헤지 전략 활용
VIX 지수와 반대로 움직이는 자산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켜 변동성이 높아질 때 손실을 줄이는 전략을 취할 수 있다.
- 옵션 전략 활용
VIX 지수와 관련된 옵션 전략을 활용하여 변동성을 기대하는 방향으로 투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VIX 지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면 콜 옵션을 매입하는 것이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5. 보충
1. 옵션의 내재 변동성이란
옵션이란 파생 금융상품이다. 주식을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미래 특정 시점에 매입하거나 매도할 권리를 말한다. 콜옵션(Call Option매입할 권리 )과 풋옵션 (Put Option 매도할 권리 ) 두 가지가 있다.
미래 행사할 권리에 대한 가격에는 수요 공급자들의 미래에 대한 예측 포함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옵션가격에는 투자자들이 미래에 가격 변동성이 얼마나 예상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이러한 원리로 변동성이 가격에 '포함' 되어 있다고 해서 옵션의 내재 변동성이라 한다. 내재 변동성은 시장 참가자들이 미래의 변동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2. 시장 변동성과 옵션가격 관계
시장 변동성과 옵션가격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간단한 예를 들어보면,
가정 1: A회사 주식 가격 현재 10만 원
가정 2: A회사의 주식 6개월 만기 콜 옵션의 행사가격이 105000원
상황 A: 시장 변동성이 낮고, A회사의 주식 가격이 약간 상승하거나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러한 상황에서, 이 콜 옵션의 내재 변동성이 낮게 측정될 것이다.
- 결과적으로 옵션의 가격은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될 것이다.
상황 B: 시장 변동성이 높고, A회사의 주식 가격이 크게 상승하거나 크게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러한 상황에서, 이 콜 옵션의 내재 변동성이 높게 측정될 것이다.
- 결과적으로 옵션의 가격은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될 것이다.
즉,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는 그것에 대응 할 수 있는 옵션을 가진 사람에게는 큰 이익이다. 따라서 그에 대한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경제 이슈와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소득대체율과 보험료율 간단 정리 다른나라는 어떨까? (0) | 2023.10.16 |
---|---|
주택 취득세 계산 방법과 생애최초 감면 조건 (0) | 2023.10.10 |
환율에 대한 이해 정의 결정 변동 영향 (0) | 2023.08.11 |
미국의 신용등급 하락 이유와 금융시장의 반응 (0) | 2023.08.07 |
기회비용 편익을 이용한 합리적 선택 (0) | 2023.08.03 |